오스왈도 산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왈도 산체스는 멕시코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약했다. 아틀라스에서 데뷔하여 클럽 아메리카, 치바스 데 과달라하라, 산토스 라구나 등에서 뛰며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여러 차례 경험했다. 멕시코 국가대표팀으로 1998, 2002, 2006 FIFA 월드컵에 참가했으며, 2006년 월드컵에서는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다. 개인적으로는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골든 글러브, 골든 볼 등을 수상했으며,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가장 많은 페널티킥을 막은 골키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 - 클라우디오 수아레스
클라우디오 수아레스는 "엘 엠페라도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멕시코의 전 축구 선수로, 1988년 프로 데뷔 후 멕시코 리그와 MLS에서 614경기 55골을 기록하고 멕시코 국가대표로 177경기에 출전하며 1994년, 1998년 월드컵과 1999년 컨페더레이션스컵 우승 등 굵직한 업적을 남겼다. - 1996년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 - 코비 존스
코비 존스는 미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포워드와 미드필더를 맡았으며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LA 갤럭시에서 MLS컵 우승 2회 등을 기록했으며, 국가대표로 월드컵 3회 출전 및 골드컵 우승을 경험했고, 은퇴 후에는 코치와 부국장을 역임, 2011년 미국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멕시코 남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다니엘 오소르노
다니엘 오소르노는 멕시코의 전 축구 선수로, 클루브 아틀라스에서 데뷔하여 멕시코 국가대표로도 활약하며 CONCACAF 골드컵과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우승을 경험했고, 은퇴 후에는 밴드를 운영하고 있다. - 멕시코 남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라파엘 마르케스
라파엘 마르케스는 멕시코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중앙 수비수와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여러 클럽과 멕시코 국가대표팀에서 뛰었고, 현재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멕시코 남자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헤라르도 토라도
멕시코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인 헤라르도 토라도는 UNAM 푸마스에서 데뷔하여 스페인 리그와 멕시코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멕시코 국가대표로 146경기 출전, 현재는 킹스 리그 피오 FC 감독을 맡고 있다. - 멕시코 남자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클라우디오 수아레스
클라우디오 수아레스는 "엘 엠페라도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멕시코의 전 축구 선수로, 1988년 프로 데뷔 후 멕시코 리그와 MLS에서 614경기 55골을 기록하고 멕시코 국가대표로 177경기에 출전하며 1994년, 1998년 월드컵과 1999년 컨페더레이션스컵 우승 등 굵직한 업적을 남겼다.
오스왈도 산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스왈도 하비에르 산체스 이바라 |
출생일 | 1973년 9월 21일 |
출생지 | 멕시코 할리스코주 과달라하라 |
신장 | 1.83m |
포지션 | 골키퍼 |
클럽 경력 | |
연도 | 1993–1996 |
클럽 | 아틀라스 |
출장 | 81 |
득점 | 0 |
연도 | 1996–1999 |
클럽 | 아메리카 |
출장 | 76 |
득점 | 0 |
연도 | 1999–2006 |
클럽 | 과달라하라 |
출장 | 272 |
득점 | 0 |
연도 | 2007–2014 |
클럽 | 산토스 라구나 |
출장 | 296 |
득점 | 0 |
총 출장 | 725 |
총 득점 | 0 |
국가대표 경력 | |
연도 | 1993 |
국가대표팀 | 멕시코 U20 |
출장 | 4 |
득점 | 0 |
연도 | 1996–2011 |
국가대표팀 | 멕시코 |
출장 | 99 |
득점 | 0 |
수상 | |
메달 | CONCACAF 골드컵 2003 |
메달 | 코파 아메리카 2001 |
메달 | CONCACAF 골드컵 2007 |
메달 | 코파 아메리카 2007 |
기타 정보 | |
해설가 활동 시작일 | 2015년 3월 25일 |
2. 클럽 경력
오스왈도 산체스는 1993년 아틀라스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빠르게 주전 골키퍼로 자리 잡았다. 1996년 클루브 아메리카로 이적했지만, 주전 경쟁을 거친 후 1999년 라이벌 팀인 치바스 데 과달라하라로 이적했다. 과달라하라에서는 팀의 주장을 맡아 핵심 선수로 활약했으며, 2006년 아페르투라 시즌에는 팀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특히 2000년 코파 메르코노르테에서는 골키퍼로서 헤딩 골을 기록하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5]
2007년에는 산토스 라구나로 이적하여 선수 생활의 마지막을 보냈다. 산토스 라구나에서도 두 차례의 리그 우승(클라우수라 2008, 클라우수라 2012)과 한 차례의 코파 MX 우승(아페르투라 2014)을 달성하며 성공적인 경력을 이어갔다. 21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친 그는 2014년 아페르투라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2. 1. 초기 경력
오스왈도 산체스는 1993년 10월 30일, 20세의 나이로 아틀라스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당시 주전 골키퍼의 부상으로 인해 교체 선수로 투입되어 베라크루스와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데뷔했다. 데뷔 2년 후에는 팀의 주전 골키퍼로 자리 잡았고, 아틀라스가 리그 8강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으나, 8강전에서 베라크루스에게 패배하여 탈락했다.1996년 여름, 산체스는 클루브 아메리카로 이적했다. 그러나 이적 첫 시즌에는 주전 경쟁에서 밀려 벤치를 지켰고, 우고 피네다가 주전 골키퍼로 나섰다. 산체스는 해당 시즌 19경기 중 단 3경기에만 출전했으며, 이 중에는 아메리카가 모나르카스 모렐리아에게 패배한 8강전 경기도 포함되었다. 다음 시즌에는 다시 주전 자리를 되찾아 아메리카의 골문을 지켰다.
1999년 여름, 산체스는 아메리카를 떠나 라이벌 팀인 치바스 데 과달라하라로 이적했다.
2. 2. 과달라하라
과달라하라에서 산체스는 팀의 주장이 되었다. 산체스는 다른 선수들과 함께 치바스(과달라하라의 애칭)에서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과달라하라가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던 시기였다. 산체스의 뛰어난 골키핑 기술과 리더십은 과달라하라가 2004년 클라우수라 시즌 결승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지만, 팀은 결국 승부차기에서 UNAM에게 패했다. 마침내 산체스는 2006년 아페르투라 시즌에 과달라하라 소속으로 오랫동안 염원하던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2006년 우승 이후, 산체스는 계약 협상이 결렬되어 팀을 떠났다. 그는 구단 경영진이 더 이상 자신을 원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티그레스 UANL 대신 산토스 라구나에서 뛰기로 결정했다.
한편, 산체스는 과달라하라 소속이던 2000년 코파 메르코노르테에서 에콰도르의 클루브 데포르티보 엘 나시오날과의 경기 중, 후반 추가 시간에 세트피스 상황에서 헤딩슛으로 골을 넣어 3-3 동점을 만드는 이례적인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5]
2. 3. 산토스 라구나
2007년, 산토스 라구나와 계약하며 이적했다. 이적 후 첫 경기는 이전 소속팀이었던 과달라하라를 상대로 치렀으나 2-3으로 패배했다. 산토스에서의 첫 시즌에는 팀이 강등 위기에 놓여 있었으나, 산체스는 동료들과 함께 팀을 구해냈다. 시즌 초 부상에서 복귀한 후에는 클라우수라 2007 토너먼트에서 팀을 8강으로 이끌었다. 이듬해 클라우수라 2008에서는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2010년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에서는 팀을 모두 준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클라우수라 2012에서는 다시 한번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1년간의 선수 생활 끝에, 산체스는 아페르투라 2014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그의 마지막 시즌에는 코파 MX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3. 국가대표 경력
산체스는 1993년 FIFA U-20 월드컵 참가를 시작으로 오랜 기간 멕시코 대표팀에서 활약했다. 1996년 볼리비아를 상대로 성인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으며, 이후 1998년 프랑스 월드컵, 2002년 한일 월드컵, 2006년 독일 월드컵까지 총 세 번의 FIFA 월드컵 본선에 참가했다. 특히 2006년 대회에서는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팀을 이끌었다.
이 외에도 CONCACAF 골드컵과 코파 아메리카 등 다수의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경험을 쌓았다. 2011년 10월 11일 브라질과의 친선 경기를 끝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으며, A매치 통산 99경기에 출전했다.
3. 1. 월드컵

산체스는 1993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FIFA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후안 데 디오스 카스티요 감독에 의해 소집되어 주전 골키퍼로 활약했다. 이후 애틀랜타 올림픽 예선에서도 골문을 지켰으나, 본선에서는 감독이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호르헤 캄포스를 발탁하면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멕시코는 이 대회 8강에서 나이지리아에 패했다.
1996년 볼리비아를 상대로 성인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총 세 번의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는 주전 골키퍼 호르헤 캄포스의 백업 멤버로 참가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는 마침내 주전 골키퍼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감독 교체 후 세컨드 골키퍼였던 오스카르 페레스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며 다시 한번 벤치를 지켰다.
대회 후 다시 주전 자리를 되찾았고, 리카르도 라 볼페 감독은 2006년 4월 2일 산체스를 다시 소집하여 독일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마침내 멕시코의 주전 골키퍼로 기용했다. 산체스는 유연한 몸과 뛰어난 반사 신경, 경험에서 비롯된 판단력을 갖춘 골키퍼로 평가받았으며, 이 대회에서 라파엘 마르케스와 함께 팀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2006년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비극적인 개인사를 겪었다. 대회를 앞두고 아들의 경기를 보기 위해 독일 방문을 준비하던 그의 아버지(향년 56세)가 6월 7일 심근 경색으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것이다. 산체스는 급히 과달라하라로 귀국했지만, 아버지의 장례식을 마친 뒤 곧바로 독일로 돌아와 이란과의 조별 리그 첫 경기에 출전하는 강한 정신력을 보여주었다. 멕시코는 이 경기에서 3-1로 승리했고, 경기가 끝난 순간 그의 사정을 아는 동료 선수들은 모두 산체스에게 달려가 그의 활약을 축하하고 위로하며 경기장에서 아버지의 명복을 빌었다.[6]
산체스는 2010년 FIFA 월드컵에는 소집되지 못했으며, 2011년 10월 11일 브라질과의 친선 경기에서 국가대표로서 99번째이자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에서 후반 88분 알프레도 탈라베라와 교체되며 공식적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
'''참가 월드컵'''
3. 2. 기타 대회
산체스는 1993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199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후안 데 디오스 카스티요 감독에 의해 소집되어 주전 선수로 활약했다. 이후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에서도 멕시코 대표팀의 골문을 지켰다. 그러나 애틀랜타 본선에서는 감독이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베테랑 골키퍼 호르헤 캄포스를 발탁하면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고, 멕시코는 8강에서 나이지리아에 패배했다.
2007년에는 우고 산체스 감독의 부름을 받아 2007년 CONCACAF 골드컵과 2007년 코파 아메리카에 참가했다. 코파 아메리카 이후에는 가나와 중국과의 친선 경기에 선발되기도 했다.
한편, 산체스는 미국과의 경기에서 에디 존슨에게 거친 반칙을 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당시 랜던 도노반이 산체스를 제치고 득점하여 미국의 2-0 승리가 확정되자, 산체스가 감정을 제어하지 못하고 존슨의 발목을 향해 슬라이딩 태클을 했다는 지적이 있었다.
4. 수상 내역
오스왈도 산체스는 선수 생활 동안 클럽, 국가대표팀, 개인 자격으로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상세한 수상 내역은 아래와 같다.
4. 1. 클럽
'''과달라하라'''-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2006 아페르투라
'''산토스 라구나'''
-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2008 클라우수라, 2012 클라우수라
- 코파 MX: 2014 아페르투라
4. 2. 국가대표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CONCACAF 골드컵에서 두 차례 우승했다.또한 국가대표팀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다음과 같은 개인상을 수상했다.
- CONCACAF 골드컵 골든 글러브: 2003
- CONCACAF 골드컵 베스트 XI: 2003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골든 글러브: 2005
4. 3. 개인
-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골든 글러브: 1995-96, 2000 인비에르노, 2002 아페르투라, 2003 클라우수라, 2003–04 클라우수라, 2004–05 클라우수라, 2005 아페르투라
-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골든 볼: 2003–04 클라우수라, 2005 아페르투라
- CONCACAF 골드컵 골든 글러브: 2003
- CONCACAF 골드컵 베스트 XI: 2003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골든 글러브: 2005
-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골든 글러브: 2012–2013
4. 4. 기록
연도 | 출장 | 득점 |
---|---|---|
1996 | 3 | 0 |
1997 | 4 | 0 |
1998 | 3 | 0 |
1999 | 1 | 0 |
2000 | 0 | 0 |
2001 | 12 | 0 |
2002 | 1 | 0 |
2003 | 12 | 0 |
2004 | 13 | 0 |
2005 | 14 | 0 |
2006 | 11 | 0 |
2007 | 10 | 0 |
2008 | 12 | 0 |
2009 | 2 | 0 |
2010 | 0 | 0 |
2011 | 1 | 0 |
통산 | 99 | 0 |
참조
[1]
뉴스
2006 FIFA World Cup Germany List of Players
https://web.archive.[...]
FIFA
2020-01-02
[2]
뉴스
Oswaldo Javier Sachez -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3]
웹사이트
Oswaldo Sánchez será comentarista deportivo
https://www.elsiglod[...]
El Siglo de Torreón
2015-03-25
[4]
웹사이트
Salón de la Fama 2022: Oswaldo Sánchez, el titán mexicano de la portería
https://espndeportes[...]
2022-03-15
[5]
웹사이트
El día que Oswaldo Sánchez anotó un gol en la Copa Merconorte
https://mexico.as.co[...]
AS México
2021-12-05
[6]
뉴스
Mexico coach hails keeper Sanchez
http://news.bbc.co.u[...]
2007-06-10
[7]
웹사이트
IGN: FIFA 2005 Gets Covered
https://web.archive.[...]
IGN
2008-07-02
[8]
웹사이트
Oswaldo Sánchez ya tiene estatua en el TSM
https://www.tudn.com[...]
[9]
웹사이트
Oswaldo es considerado por FIFA el mejor portero
https://www.chivasde[...]
2024-02-16
[10]
웹사이트
Mejores porteros mexicanos: Quién ha atajado más penales
https://www.mediotie[...]
2021-08-28
[11]
문서
PAGENAMEBASE
https://www.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